s-valueup

스타트업 법인 설립 질문입니다.

  • 작성 언어: 한국어
  • 기준국가: 모든 국가country-flag
  • 경제

작성: 2025-06-16

작성: 2025-06-16 15:44

스타트업 법인 설립 질문입니다.


스타트업 창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

현재 3명이 공동창업 계획 중이며,

1명은 자금 제공 및 투자유치, 2명은 실무적인 능력을 가진 개발자와 실무자이며 실 아이디어와 개발 및 운영을 전담합니다.

이때, 차후 회사 성장을 위한 자금 유치나 대출을 감안하면 개인사업자보다 법인사업자로 시작하는게 좋다고 들었습니다. 실제 작은 자본금으로 시작하면 법무사 수수로 40-50만원 정도 부담하면 된다고 하고요.

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.

1. 자금을 제공하는 창립자 1인 + 실무담당 2인중 1명이 공동대표를 맡고, 실무담당 1인이 등기이사로 들어간다면

3명 중 지분 배분율을 공평하게 1/3으로 할 수 있고, 차후 경영권에 대한 힘이 1/3씩 돌아가게 되는지요. (실무담당 1인이 사정으로 채무조정을 갚고있고 거의 갚아나간 상황이라 남은 채무는 많지 않으나 차후 공동대표로 등재될 시 법인대출 등 자금 유치에 신용도가 단점으로 작용할수 있다고 들어서요.)

2. 위 말씀드린 창립자 1명의 신용도 문제가 차후 법인 대출이나 자금 유치에 어려움이 크게 작용하는지요?

3. 혹시 안좋게 작용한다면, 일단 개인사업자로 진행하고 채무를 모두 탕감한 후 회사가 커졌을 때 법인으로 전환해도 큰 단점이 없을까요?

4. 현재 요식업으로 시작하여 디자인 스튜디오와 식자재 유통과 md 등으로 성장시킬 계획인데, 법인사업자도 개인사업자처럼 직종을 정해서 해야 할것 같은데, 어떤 것이 유리한지 조언을 구할수 있을까요? 앱 개발과 홈페이지 등을 사업으로 이용할 생각입니다.

5. 현재 법인 사업자를 내지는 않은 상태로 (개인사업자)

음식점으로 일단 첫 시작을 한 상태입니다.

법인을 설립하려면 자본금이 필요한데, 음식점을 창업하면서 들어간 자본금을 법인 설립시 자본금으로 포함시킬수 있고, 지분율을 셋이 똑같이 나눌수 있을까요.

첫 사업이라 어려움이 많습니다. 소중한 고견 부탁드립니다.



댓글0